버핏 지수란? / 워런 버핏의 주가의 고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

#1 버핏지수란

버핏 지수란 국내총생산 대비 시가총액 비율을 말합니다. 이 지수의 숫자가 70~80% 이하면 저평가되었다고 보고, 100%를 넘으면 버블 즉, 고평가되었다고 봅니다. 현재(2020. 12. 기준) 한국의 버핏지수는 113% 입니다.  버핏지수만 보면 고평가되어 있다고 보는 게 맞겠지만, 정작 워렌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지난 2020년 3분기에 190억 달러 규모의 주식을 사들였습니다.  아마도, 코로나로 인해 국내총생산 지수가 하락한 것을 감안한다고 할 때, 2021년에 코로나 치료제 및 백신으로 인해 GDP가 상승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GDP가 얼마나 상승할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분모가 커진다면 앞으로 버블이라고 보기 어려울 수도 있겠네요. 이처럼 주가의 고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시점이나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식투자 초보들이 자주 보는 지표에는 PER과 PBR이 있는데요. 

 


#2 PER(주가 수익 비율)

PER이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즉, PER이 130%라면 주가가 고평가되어있다고 보는 게 맞을 겁니다. 따라서 앞으로 주가가 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만약 주당순이익이 주가보다 높아져서 1%에 수렵되는 상태라면 저평가되어 있는 셈이니 앞으로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겠죠? 그러나 이 하나의 지표만 보고 매수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주당순이익은 분기별로 평가되는데, 이익실현 시점이 언제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여러 지표를 함께 고려하여야 합니다.    


#3 PBR(주가순자산비율)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나눈 비율입니다. 주당순자산이란 회사가 보유한 자산을 발행한 주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금액을 말합니다. 회사의 부동산이나 기타 자산들을 현금화한다고 할때의 금액을 주식 1주로 나눈 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주당순자산이 크다면, 그 회사는 영업이익이 꾸준히 있었으므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었다고 보면 되겠죠.  그러나 주당순자산의 값이 적다면, 그 회사는 이익이 적어서 계속 자산을 매각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어찌됐든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높다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적다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겁니다. 다만, 근래에 보듯 부동산의 가격이 급 상승해서 회사가 보유했던 사옥들의 가격이 급상승하는 바람에 주당순자산이 일시적으로 올랐다던가 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여러가지 지표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출처URL, 하트♥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포스팅에 큰 힘이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